시놀로지 사용하면 내부에서는 다 편한데, 외부에서 사용할 때는 불편한 점이 좀 있었습니다.
"서버 폴더 관리를 내부 네트워크망처럼 할 수 없을까?"에 대한 의문이었습니다.
네. 가능한 방법이 있습니다.
일단 서버는 매장에 연결해 놓았습니다.
그리고 집에서도 접속할 때가 종종 있습니다.
이럴 때 내컴퓨터의 폴더 관리하듯 서버를 관리 할 수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많이 했습니다.
물론 귀찮아서 보통은 웹접속을 통해 사용을 했습니다.
하지만 방법이 있습니다.
시놀로지에서 외부 접근용으로 제공하는 프로토콜 중 "WebDAV"를 이용하는 방법입니다.
윈도우에서 쉽게 접속 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 폴더로 설정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.
즉, 윈도우 탐색기에 시놀로지 폴더에 바로가기를 만들 수 있습니다.
그런데 윈도우 7 이후의 운영체제에서는 네트워크의 폴더 기본 설정값이 SSL을 이용한 접속만 허용됩니다.
그렇기 때문에 비보안 접속시에도 사용 가능하도록 레지스트리를 수정해 줘야 합니다.
(아래의 해당 경로에 키 이름이 없을 경우 DWORD Value타입으로 새로 만들어서 "2" 값을 넣어주면 됩니다.)
아래는 방법입니다.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#1 . 아래그림처럼 해줍니다.
시놀로지 > 제어판 > 파일서비스 > WebDAV 활성화 체크
#2. 윈도우 시작 > 실행 (또는 윈도우검색에서 바로 입력) > regedit(레지스트리 편집기) 실행
HKEY_LOCAL_MACHINE\SYSTEM\CurrentControlSet\Services\WebClient\Parameters 경로에
BasicAuthlevel 값을 1에서 2로 변경합니다.(아래 그림 참조)
*** 각 값의 의미는 아래와 같습니다.
0 - basic authentication disabled
1 - basic authentication enabled for shares only
2 - basic authentication enabled for shares and for non-SSL shares
(SSL보안에 대한 부분은 각자의 책임이므로 원치 않으시는 분께는 추천드리지 않습니다.)
#3. 레지스트리 값을 변경한 뒤 재부팅 합니다.
#4. 내컴퓨터 실행후 내트워크에서 오른쪽 클릭후 "네트워크 드라이브 연결"을 선택합니다.
#5. 드라이브는 원하는 영문명 선택하면 됩니다.
폴더에는 "http://abc.iptime.org:5005"(예시)처럼 WebDAV 개방포트(기본설정 Port : 5005)까지 포함해서 서버주소를 입력해줍니다.
#6. 이후 자격증명을 하기 위한 아이디/비밀번호 입력을 하면 끝입니다.
이제 어디서든 시놀로지 내 서버를 폴더관리 하기 쉬운상태로 접근하실 수 있습니다.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사진을 서버에 저장해서 티비에서 DS Photo로 보기도 하고, 외부에서 편집을 할 때도 있고
그 외에도 서버가 있다는 건 편리한 점이 역시 많네요.
영화를 보는 것 뿐만이 아니라 대부분의 작업도 외부에서 편하게 할 수 있다는 점 때문에
이제 서버를 사용하지 않으면 엄청 불편할 거 같아요.
오늘은 간략한 팁을 남기며 마칩니다.
ⓒ시가카페 + 지구별1박2일
2017.11.28 09:43 신고
저도 아주 가끔 필요할때가 있는데 그때 한번 시도해 봐야겠습니다
좋은 팁입니다^^
2017.11.28 13:10 신고
^^ 감사합니다.
의외로 이런 정보 찾기가 힘들어서 어찌어찌 하다보니 알게된 정보를 정리해보았습니다.
2017.11.28 10:05 신고
이런거는 아무리봐도 이해가 안가요 ㅠㅠ
타고난 문과생의 한계 ㅋㅋ
2017.11.28 13:11 신고
하하;;; 아무래도 서버라는 것 자체가 많은 분들에게는 생소하다보니 그러실거에요.
막상 접해보면 그렇게 어렵지 않아요~ ^^
2017.11.28 13:36 신고
저도 나중에 한번 해봐야 겠습니다*^^* 잘 보고 갑니다^^
2017.11.28 17:14 신고
감사합니다.
답방 놀러가께용..^^
2017.11.28 14:06 신고
서버를 사용하면 정말 편리하죠. ^^
2017.11.28 17:15 신고
정말 편하긴 합니다.
3년정도 이용중인데... 모바일이든 놋북이듯 인터넷만 연결되면 참 유용하게 쓰네요.
2018.03.21 02:07
와~~ 됐어요~~! ㅋㅋㅋ 님 정말 감사합니다~ ㅋ 새로운 지식하나 또 배워가네요~
2018.10.03 16:50 신고
^^ 저도 가끔 리셋할때마다 블로그 찾아보는게 귀찮아서 포스팅한 건데 도움이 되셨다니 저도 좋네요.
2018.06.27 19:50
시놀로지에 있는 특정 폴더 하나만 연결하는 방법은 없나요?
2018.10.03 16:54 신고
네 가능합니다.
[http://abcd.abc.com:5005]로 접속하셨는데, 내부폴더 photo라는 폴더가 있으면
네트워크연결에서 [http://abcd.abc.com:5005/photo]라는 경로명으로 네트워크드라이브 연결하시면 됩니다.
2018.09.01 02:41
안녕하세요.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.
제가 미국과 한국을 자주 오가는데, 이렇게 설정하면 미국에 있는 하드를 한국에서도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이 가능한 것 인가요?
처음에 설정할때, 시놀로지(1번 스크린샷)화면은 웹베이스로 들어가신게 아니라 프로그램을 받아서 하신건가요?
2018.10.03 16:57 신고
네 첫번째 사진...정확히는 두번째 사진이죠.
시놀로지 웹에 접속한 스크린샷입니다.
웹으로는 어디서든 접속 가능한 걸로 알고 있습니다.
미국이라고 문제될게 없죠.
그리고 웹으로 접속하는 방법은
내 서버의 주소를 설정한 경우 크롬/파일탐색기/익스프롤러 어디서나 가능합니다.
2018.12.01 15:45
포스팅 잘 보았습니다. 다름이 아니오라 몇가지 질문을 하고자 합니다.
1. 시놀로지 NAS는 데탑처럼 자가설치가 가능한 장비인가요?
소규모 사업장에서 사용할 예정인데, 전원선 꼽고 랜선만 연결하면 되는 것인지 (공유기 처럼)
2. 시놀로지 NAS를 사용하려고 하는 큰 이유는 오늘 포스팅 해주신 대로 원격지에서도 내 폴더처럼 서버 파일을 이용하고자 함입니다.
서버에 있는 파일은 다수가 봐야하는 공유 파일일 경우가 많은데, 문서 파일 같은 경우에는 그런 환경이라면 다른 사용자가 사용중일 때는 읽기전용으로 열린다던지 락을 걸 수있어야 하는데, 내부 서버처럼 사용가능하면 그런것도 가능하겠죠?
3. 또, 웹하드에 업,다운로드 방식이 아닌 내PC의 파일 처럼 실시간 처리가 가능한 부분이죠?
2019.11.11 00:47 신고
음... 질문을 하시는 정도로 쉽지는 않습니다. 하지만 며칠 공부하시면 어렵지도 않습니다.
소규모 사업장에서 사용하시에 좋습니다.
그리고 직원들 사용자마다 권한을 달리 주실 수도 있습니다.
네트워크 폴더추가처럼 사용가능하기도 하고요...
근데 우선 이러한 내용들을 좀 더 정보 얻으신후에 지르시는게 좋으실거 같아용~
2019.09.08 10:32
제어판의 파일서비스에 Web DAV가 없으면 어떡하죠?
2019.11.11 00:48 신고
헛 없을리가요~!!
같은 Synology라면 있을거에요...
버전업을 해보시거나 하시는게 좋으실거 같습니다.
2019.12.10 10:35
파일서비스가 아니고 제어판-네트워크-DSM 설정에 있습니다.
2019.12.12 00:50 신고
ㅈㅈㅈ 님 감사합니다. ^^;
2020.02.19 15:29
질문드립니다
이모든게 하나의 컴퓨터에서 해야 하는건가요?
아니면 시놀로지 DSM이 깔린곳에서 제어판 손본뒤...
레지스트리는 외부접속을 하는 컴퓨터 에서 해야 하는건가요?
2020.07.21 18:00 신고
서버가 어딘가에 설치되어 있어야 하며,
외부에서 그 서버에 접근할 수 있는 방법중 하나에 대한 설명입니다.